본문 바로가기
explore

인디메이커로 살아남기: 피터 레벨스(Pieter Levels)의 책 《MAKE》

by 고니누나 2025. 2. 23.
728x90

나는 인디메이커로서 살기위해, 내 스스로 또 하나의 사례가 되기 위해 노력중이다. 

 

몇몇 눈에 띄는 인디메이커 중에 피터 레벨스(Pieter Levels)가 있다.

그는 현재도 꾸준히 활동하며 성과를 만들고 새로운 시도를 하고 있다. 한 두번의 성과가 아니라 꾸준히 새로운 시도를 하고 왕성하게 활동하고 있다는 점에서 그는 전세계 많은 인디메이커들에게 영감을 주고 있다. 

 

피터 레벨스가 공개한 그의 시도들↓

 

 

그에 대한 소개는 아래 글에서도 다룬적이 있다.

2024.11.21 - [explore] - 팀 없이도 가능한 성공: 피터 레벨스(Pieter Levels)의 이야기

 

인디메이커 피터 레벨스(Pieter Levels)의 책 MAKE

오늘은 그가 자신의 경험과 시도들을 기록한 책 《MAKE》을 소개하려고 한다.

이 책은 전자책으로만 출간된지 4~5년이 되었지만, 여전히 유효하고 실천해볼만한 내용들로 채워져있다. AI나 디지털 노마드에 대한 관심이 급부상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최근 인디메이커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는데, 그런 맥락에서 피터 레벨스에 대해 관심갖는 사람들도 늘고 스스로 인디메이커의 삶을 가고자 하는 사람들도 많다. 물론 나 역시 그렇고.

비슷한 생각을 하는 사람들이 많아진다는것은 반가운 일이다.

 

피터 레벨스의 책 MAKE는 독립 개발자(Indie Maker)로서 SaaS나 디지털 프로덕트를 만들어 수익을 창출하는 방법에 대한 실용적인 가이드다. 대규모 투자나 팀 없이도 성공할 수 있다는 것을 직접 증명한 저자가, 실용적인 방법과 경험을 바탕으로 효율적인 개발과 마케팅 전략을 공유한다.

인디메이커 피터 레벨스(Pieter Levels)의 책 MAKE

 

1. 완벽주의를 버리고 실행하라

 

- 대부분의 사람들은 아이디어만 고민하다가 실행하지 못한다.

- 완벽한 제품을 만들려고 하지 말자. 빠르게 시작하고 개선해 나가는 과정이 중요하다.

- 초기에는 최소 기능 제품(MVP, Minimum Viable Product)을 빠르게 출시하는 것이 핵심.

 

많은 사람들이 아이디어만 고민하다가 실행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하지만 피터 레벨스는 아이디어 자체로는 가치가 없고, 실행이 전부라고 강조한다. 완벽한 제품을 만들려다 보면 시간만 낭비하게 되므로, 빠르게 시작하고, 사용자 피드백을 받으면서 점진적으로 개선하는 것이 더 중요하다. 초기에는 최소 기능 제품(MVP, Minimum Viable Product)을 만들어 실제 시장 반응을 빠르게 확인하는 작업에 집중해야한다.

 

나의 첫 프로젝트 경험을 돌아보면, 이 부분에서 실패했다. 나는 실제 사람들의 반응을 살피기 전에 '이런게 꼭 필요할거야'라는 혼자만의 생각에 갇혀서 프로덕트의 기능들을 계속 추가해서 개발했고 매몰비용을 높였다. 나 스스로 개발자가 아니었으니, 개발자와 디자이너를 고용해서(돈도 아직 못벌고 있는데!) 큰 비용을 먼저 지출했다. 나의 씁쓸한 실패의 경험들은 따로 한번 엮어봐야겠다. 그런 이야기들을 만들어내기 위해서라도 계속 시도하는게 필요하다 생각한다. 

 

2. 혼자 제품을 만들고 운영할 수 있다

- 대기업이 아니라도, 대규모 투자가 없어도 혼자서 충분히 성공할 수 있다.

- SaaS, 구독 서비스, 마켓플레이스, 콘텐츠 플랫폼 등 다양한 디지털 제품을 만들 수 있다.

- 자동화 도구를 활용하면 적은 노력으로도 많은 것을 해낼 수 있다.

 

과거에는 소프트웨어 제품을 만들기 위해 팀을 구성하고, 투자 유치를 해야 한다는 인식이 강했다고 지적한다. 하지만 지금은 다양한 자동화 도구와 클라우드 서비스를 활용해서 혼자서도 SaaS, 구독 서비스, 마켓플레이스, 콘텐츠 플랫폼 등을 운영할 수 있다. 피터 레벨스가 이 책을 쓸 당시에 비하면 최근 Cursor나 GPT 같은 AI툴들이 엄청나게 발전하고 있으니 잘 활용하면 혼자 충분히 가능하다. 적절한 툴과 효율적인 워크플로우를 활용하면 한 명의 개발자가 작은 회사를 운영하는 것처럼 일할 수 있다고 강조한다. 아, 아마 나처럼 개발자가 아닌 사람들도 많을텐데, 피터레벨스 역시 처음부터 개발자는 아니었다. 그는 자신이 만들고 싶은것을 하나씩 만들면서 스스로 개발자로서의 역량을 키웠다. 

 

728x90



3. 시장 조사에 너무 연연하지 말고 먼저 만들자

- 아이디어를 검증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만들어서 사용자 반응을 보는 것

- 사전 조사를 너무 오래 하기보다는, 직접 작은 제품을 만들어 반응을 확인하고 개선해 나가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아이디어를 검증하는 가장 좋은 방법은 직접 만들어서 사용자 반응을 보는 것이다. 대부분의 사람들은 시장 조사를 오래 하지만, 실제로는 조사를 해도 결과를 확신할 수 없는게 현실이다. 그래서 사전 조사를 길게 하기보다는, 작은 제품을 만들어 빠르게 출시하고, 사용자 반응을 기반으로 수정해 나가는 것이 더 효과적이다. 사전 조사에서 아무리 '돈을 낼 의향'을 물어본다고 해도, 실제로 내가 만든 제품에 소비자가 돈을 쓰는것과는 완전히 다르다. 

 

4. 돈을 벌려면 문제를 해결하라

- 사람들이 기꺼이 돈을 낼만한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제품을 만들어야 한다.

- 기술 중심이 아니라,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서비스나 도구를 만들 것.

 

성공적인 제품은 단순히 재미있는 것이 아니라, 사람들이 기꺼이 돈을 낼 만한 실제 문제를 해결하는 것이어야 한다. 예를 들어, 사람들이 반복적으로 불편을 겪는 작업을 자동화하거나, 시간을 절약할 수 있는 도구를 제공하면 자연스럽게 수익을 창출할 수 있다. 기술적인 복잡함보다, 사람들이 필요로 하는 가치를 제공하는 것이 핵심. 내 주변에서 혹은 내 스스로 겪고 있는 사소한 문제들부터 잘 살펴보자. 비슷한 고민들을 하는 사람들이 내가 만든 제품에 돈을 쓸 수 있다. 

 

5. 마케팅 없이 제품은 성장할 수 없다

- "좋은 제품은 저절로 퍼진다"는 거짓이다.

- SEO, 블로그, 트위터, 뉴스레터 등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적극적으로 홍보해야 한다.

- 초기에 제품을 찾을 수 있는 작은 커뮤니티에서 시작하는 것이 좋다.

 

여전히 많은 사람들은 "좋은 제품이면 저절로 퍼질 것"이라고 생각하지만, 현실에서는 적극적인 마케팅이 필수. 마케팅이라는 말도 큰 의미가 없다. 계속해서 내가 만든 것을 알리자. 지치지 않는게 중요하다. SEO, 블로그, 트위터, 뉴스레터, 커뮤니티 등의 다양한 채널을 활용해 제품을 노출해야 한다. 특히 초기에는 작은 커뮤니티에서 시작해 피드백을 받고, 점진적으로 확장하는 전략이 효과적이다. 

 

6. 100달러부터 시작하라

- 대규모 투자가 필요하지 않다.

- AWS, Vercel, Netlify 등의 무료 또는 저렴한 클라우드 서비스로 충분히 시작 가능.

- 돈을 벌기 시작하면 점진적으로 확장할 것.

 

제품을 만들려면 많은 돈이 필요하다고 생각되는가? 실제로는 그렇지 않다. 요즘은 환경이 더 좋아졌다. AWS, Vercel, Netlify 같은 무료 또는 저렴한 클라우드 서비스를 이용하면 초기 비용을 거의 들이지 않고도 시작할 수 있다. 먼저 작은 MVP를 만들어 사용자를 확보하고, 수익이 발생하면 점진적으로 확장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식이다.

 

7. 일과 삶의 균형을 유지하라

- 반드시 대박을 터뜨려야 하는 것은 아니다.
- 월 1000달러, 5000달러 등 작은 목표부터 시작하라.
- 디지털 노마드 스타일로 여행하면서 자유롭게 일하는 것도 가능하다.

 

죽을때까지 일하라. 이게 답은 아닐수도 있다. 현실적으로 접근하자. 스타트업 문화에서는 "죽을 때까지 일하라"는 마인드가 강하지만, 꼭 그렇게 할 필요는 없다. 월 100만원이라도 현실적인 목표를 설정하고, 지속 가능한 방식으로 성장하는 것이 중요하다. 피터 레벨스도 이 점을 강조한다.

 

한번에 큰 성공을 노리고 전력을 다해 하나의 프로젝트에만 집중하지 말자. 여러가지 아이디어들을 빠르게 실험하고 개선하면서 성장하는것이 개인의 삶을 위해서도 지속 가능한 성장을 위해서도 중요하다고 본다. 지치지 않고 꾸준히 시도하면서 성장한다면 디지털 노마드로서 원하는 장소에서 자유롭게 일하는 것도 가능해질터. 개인의 삶과 비즈니스 사이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 장기적인 성공의 열쇠라고 말한다. 

 

 

책 제목 <MAKE> 그대로. 직접 만들고 실행하라

피터 레벨스는 코드를 짜고 빠르게 배포하는 것이 최고의 전략이라고 강조한다. 팀이나 조직, 투자에 얽매이지 말고 꾸준하게 다양한 아이디어들을 빠르게 실험하는게 중요하다고 말한다.

 

나 역시 아이디어들을 틈틈이 메모하고 쌓아둔다. 때론 특정 아이디어에 대해 고민하는 시간이 길어지고 Key Feature는 복잡해지는 경험을 한다. 만들기도 전에 담고 싶은, 담으면 좋을것 같은 핵심 기능들이 많아진다.

 

아이디어만 고민하다가 실행하지 못한다면, 어떤 의미가 있을까. 엉성하게 만들어지는것을 겁내지말고, 최대한 빠른 시간에 본질을 담기 위해 고민하는게 필요하다. 중요한 것은 실제로 만들어 보고, 사용자 반응을 확인하면서 개선하는 과정이라고, 단순한 이 사실을 피터 레벨스는 그의 책 <MAKE>에서 일관되게 강조하고 있다.

 

✅ 실행이 아이디어보다 중요하다.
✅ 문제 해결에 집중해야 돈을 벌 수 있다.
✅ 혼자서도 성공할 수 있다.
✅ 적극적인 마케팅이 필요하다.
✅ 작은 목표부터 시작해서 점진적으로 확장하라.

 

 

 

MAKE

Learn to build startups the indie way

readmake.com

 

 

팀 없이도 가능한 성공: 피터 레벨스(Peter Levels)의 이야기

디지털 노마드와 인디메이커의 아이콘, Peter Levels피터 레벨스는 디지털 노마드 문화를 확산시키고 1인 기업의 성공 모델을 보여준 대표적인 인물이다. 그는 "내가 좋아하는 일을 하면서 자유롭

gonilab.tistory.com

 

2025.03.31 - [projects] - 인디메이커들을 위한 부담없는 피드백 수집툴- 피드플로우(Feedflow)

 

인디메이커들을 위한 부담없는 피드백 수집툴- 피드플로우(Feedflow)

아직 필요 없는 기능들 때문에 이 돈을 내야 하나"프로젝트가 잘되면, 얼마든지 돈을 더 쓰고 확장할 마음이 있다."모든 인디메이커들이 이렇게 생각할 겁니다. 하지만 대부분의 SaaS는 유료로 써

gonilab.tistory.com

 

 

 

728x9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