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IL

TIL#6. IT 5분 잡학사전 ep30-34

고니누나 2023. 10. 15. 19:55
728x90

노마드코더의 북클럽 챌린지 IT 5분 잡학사전

 

노마드 코더 Nomad Coders

코딩은 진짜를 만들어보는거야!. 실제 구현되어 있는 서비스를 한땀 한땀 따라 만들면서 코딩을 배우세요!

nomadcoders.co

오늘 읽은 내용

에피소드 30 - 레거시 시스템

에피소드 31 - SQL

에피소드 32 - NoSQL

에피소드 33 - 깃&깃허브

에피소드 34 - 버전을 표기하는 방법

 

기억할 내용

- 프로그래밍은 사람들에게 영향을 주는 일이므로 책임감을 가져야하고, 만든 이후 끊임없는 관리가 중요하다

 

[SQL]

- Structured query language. 데이터베이스에 어떤 질문 또는 문의를 하기위해 어떤 구조를 가진 언어. 즉 데이터 베이스를 다루는 언어임

- 데이터베이스는 데이터를 보관하는 창고 역할만 함. 데이터 정리하거나 처리하는 것은 DBMS(데이터 베이스 관리 시스템)이 함. => SQL로 데이터베이스와 상호작용을 하려면 DBMS를 거쳐야함

- DBMS 종류: MySQL, PostgreSQL, SQLite, Oracle, MariaDB

 

[NoSQL]

데이터베이스 종류 중 document DB, key-value DB, graphDB

1) document DB: 데이터 형식이 매우 자유로움. 몽고DB(MongoDB)가 대표적. 데이터를 JSON 도큐먼트 형태로 저장함. SQL의 테이블 형태보다 자유롭게 표현, 추가 가능

2) key-value DB: 읽고 쓰는 속도가 빠름. 카산드라디비(CassandraDB), 다이나모디비(DynamoDB)가 대표적. 애플, 넷플릭스, 인스타그램 같은 회사들이 카산드라디비를 사용함. 다이나모디비는 아마존이 만듬. 듀오링고라는 언어 학습 앱이 다이나모디비 사용. 

3) graph DB: 열이나 도큐먼트가 필요하지 않고 '노드'가 필요함. 

- 깃이 커피라면, 깃허브는 커피숍

- 깃은 파일 이력을 관리하는 프로그램

 

[시맨틱 버저닝(Semantic versoning specification, SemVer)]

- 리액트와 장고가 대표적임

- 1.2.14 => 첫번째 숫자는 하위 호환이 되지 않는 큰 변화(예. 이사)/ 두번째 숫자는 일부 기능의 변화(예. 인테리어) / 세번째 숫자는 버그 수정이나 패치

 

생각과 메모

- Solo saas를 위해 데이터베이스를 다루는 법을 배울 필요가 있다고 생각했는데, 도큐먼트디비인 몽고디비를 배워야겠다.

- 챌린지를 하면서 매일 꾸준히 책을 읽고, 과제를 제출하고, 퀴즈도 푸니 공부 습관을 들이는데 큰 도움이 된다. 지금 북클럽 챌린지와 카카오클론 챌린지를 동시에 하고 있는데, 크게 부담이 되는 수준은 아니고 오히려 프로그래밍 공부 모드를 꾸준히 유지할 수 있는 기회가 된다. 프로그래밍 공부를 해보고 싶은 사람에게 노마드코더 추천!

 

728x90